한달전, 크로스핏을 1개월 하니까 너무 운동에 대해 모르는 거 같아서 혼자서 헬스장을 등록했는데,
PT할때도 알았지만 관심이 없었던 용어들이 지금은 궁금해지기 시작해서 파헤쳐보기로 했다.
- 운동 도구 관련 용어
1. 프리웨이트(Free Weight)
프리웨이트는 운동 중량의 움직임이나 궤적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도구들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바벨, 덤벨, 케틀벨 등을 이용하여 하는 운동이다.
*케틀벨은 코어머슬강화에 좋은 효과를 가진 전통 프리웨이트 운동기구이며, 쇠 공에 손잡이가 달린 형태가 마치 목탁처럼 생겨서 쇠목탁, 철목탁이라고도 하며 미국인들은 포탄이라고도 했다.
2. 머신(Machine)
프리웨이트와는 반대로 중량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없고 궤적이 고정되어 있어 정해져 있는 경로로만 운동이 가능한 운동장비들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스미스 머신, 레그프레스 머신, 시티드 체스트 프레스 머신 등이 있다.
3. 바벨(Babel)
강철 재질의 기다란 막대를 의미하며, 중량 원판을 더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흔히 일반인들 사이에서 '역기'라고도 불리우는 그것이며, 가장 높은 무게를 다룰 수 있으며 근력 향상과 근 협응력을 단련하는 데 최고의 도구이다.
4. 덤벨(Dumbell)
바벨과는 달리 두개로 분리되어 있어 한 손에 하나 씩 들고 운동을 할 때 사용한다. 흔히 '아령'이라고 알고 있는 그 도구이다.
5. 랙(Rack)
멀티랙, 파워랙, 하프랙 등으로 구분되지만 헬스장에서는 흔히 '랙'이라는 단어로 통일된다. 주로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밀리터리프레스, 바벨로우 등과 같은 고중량 복합관절 운동을 할 때 바벨과 플레이트를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6. 벤치(Bench)
일반인들에게 벤치란 공원에서 앉아서 쉬는 바로 그 벤치이지만 헬스장에서 벤치는 아래 그림과 같은 걸 의미한다.
평벤치와 각도조절 벤치로 나뉘며 벤치프레스나 복근운동, 혹은 여러가지 상체 운동을 응용하여 사용한다.
- 트레이닝 지식 관련 용어
1. RM(Repetition Maximum)
Repetition Maximum의 약자로 최대 반복 가능 횟수를 의미한다. RM 앞에 숫자를 붙여 1RM, 5RM, 10RM 등으로 표현하며, 1RM이란 1회에 최고 들을 수 있는 무게이다. 한번에 최대 노력으로 중량의 저항에 대항하여 발휘할 수 있는 근력으로 힘의 정도를 말하며 나의 근력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무게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2. 3대 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대표 종목 3가지인 스쿼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를 묶어서 3대 운동이라고 부른다.
3. 근비대
이름 그대로 근육의 비대, 근육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근비대 트레이닝'과 같은 단어로 사용된다.
4. 스트렝스(Strength)
근력을 의미하며 마찬가지 '스트렝스 트레이닝'과 같은 단어로 사용된다.
5. 분할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근육의 회복기간을 위해 부위를 나누어 운동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운동 부위의 갯수대로 상체,하체 2가지로 나뉘어 2분할/ 하체, 가슴, 등, 어깨, 팔 5가지로 나뉜 5분할 등으로 표현한다.
6. 코어(Core)
중심을 뜻하는 영단어로 인체에 있어 중심인 골반과 척추를 의미한다. 코어운동, 코어 근육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우며 골반과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을 '코어 운동', 골반과 척추 주변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들을 '코어 근육'이라고 한다.
7. 세트(Set)
한 가지 운동 당 반복하는 차례로 이해할 수 있으며 '팔굽혀펴기를 3세트 수행한다' 라고 하면 팔굽혀펴기를 목표 횟수만큼 반복하였다가 휴식, 다시 반복하고 휴식 한차례 더 반복하는 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8. 벌크업
벌크업은 근육량과 체격을 키우는 것이다. 효과적인 벌크업 방법으로는 근력운동의 횟수보다는 중량을 늘려주는 것이 좋다. 또한 식사량과 운동증량을 모두 증량해주어야 벌크업이 가능하다는 점 참고해야 하며, 근육량이 빠르게 느는만큼 지방량 또한 함께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9. 린매스업
체지방의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순수 근육량만을 늘리는 데 초첨을 두는 트레이닝과 식단을 의미, 염격한 식단조절이 필요하며 근육량의 증가가 벌크업에 비해 느릴 수밖에 없다.
10. 루틴(Routine)
일정하게 반복되는 연속 동작을 말한다. 운동에서의 루틴은 운동의 종류, 방법, 횟수, 세트 등을 정하고 일정하게 운동하는 체계를 말한다.
11. 중량
중량이란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물체를 지탱하는데 필요한 힘이다. 운동을 수행할 때 들 수 있는 무게로 고중량/저중량 이라하며, 이는 고중량 운동을 짧게 하거나 저중량 운동을 반복하며 물체를 지탱하는데 필요한 근력을 기를 수 있다.
12. 펌핑
일시적으로 해당 근육에 혈액이 몰려 팽창하고 단단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지속시간은 20분 남짓으로 운동을 멈추면 몰려있던 혈액이 빠져나가며 해당 근육도 원래대로 돌아오게 된다.
- 최신 유행 관련 용어
1. 헬린이
헬스+어린이의 합성어로 헬스 초보와 동일한 의미라고 보면 된다. 헬린이에 더해 헬태아, 헬정자, 헬세포 등 좀 더 자신을 낮추고 싶고 겸손을 표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파생용어가 존재하지만 1절만 하는게 좋을 듯 싶다. 그냥 헬린이로 통일!
2. 헬창
헬스+창... 함부로 입 밖에 꺼내기 힘든 부적절한 단어로써 성(性)을 파는 사람을 상스럽게 일컬어 '창X'라고 하잖아요..? 그 '창'과 '헬스'가 합쳐진 단어이다. 요즘 어리고 젊은 친구들 사이에선 자세한 뜻을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아무렇지 않게 장난스럽게 사용된다. 자세한 뜻을 알기 때문에 이 '헬창'이라는 단어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다. 몸의 좋고 나쁨의 여부와는 다르게 헬스에 과하게 빠져 일상생활과 연관된 모든 걸 헬스와 연관지어 생각하는 사람을 흔히 이렇게 부른다.
3. 근손실
단어 그대로 근육이 손실되는 것을 근손실이라고 하는데 유명 운동 유투버로 인해 근손실에 대한 유머스러운 밈이 운동인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성행하고 있다.
4. 3대 500미만 ~ 금지
어느새부터인가 위에서 설명드렸던 3대 운동, 즉 스쿼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중량의 합이 500kg인 경우 헬스 고인물, 초고수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해 대표적으로 3대운동 도합이 500kg이 되지 못하는 사람은 대표적인 스포츠웨어 중 하나인 '언더아머'아이템을 착용하지 못 하게 하는 '3대 500미만 언더아머 금지'라는 밈이 생겨났고 그와 관련된 재미있는 유행어가 속속 등장했다.
5. 벤최몇?
'벤치프레스 최대 몇kg 들 수 있음?'의 줄임말이다. 이와 같은 유행어가 생겨난 것을 보면 벤치프레스가 웨이트 트레이닝에 있어 얼마나 상징적인 운동인지를 알 수 있다.
6. 인자약, 인자강
헬스에 있어서는 '인간 자체가 약함', '인간 자체가 강함' 이라는 의미이며, 운동과 관련해 특별한 지식이나 경험 없이도 굉장히 높은 중량의 운동을 소화해 해는 날 때 부터 타고난 사람을 '인자강'이라고 부른다. 물론 반대의 경우 '인자약'이라 부른다.
이렇게 정리해놓으니까 알아보기 쉬워서 너무 좋다. 앞으로도 화이팅...!!!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의 숙명, 변비/숙변?! (0) | 2023.01.20 |
---|---|
치팅데이 좋을까?나쁠까? (0) | 2023.01.19 |
한번에 조지자, 서킷트레이닝 (0) | 2023.01.19 |
나는 늘 다이어트다, 식단이 문제다. (0) | 2023.01.19 |
운동 전후 스트레칭은 필수?! (0) | 2023.01.18 |